EDA

    EDA 순서

    EDA 를 할때도 순서를 정해서 하는건 굉장히 중요한 업무중에 하나이다. EDA 를 할때 순서를 정하지 않고 무작정 하게되면, EDA 를 통해서 도출하는 결과가 달라진다. 예로들어서 Time series 데이터에서 Feauture 값에 고유키 값이 없을때. 이것을 찾기 위해서 Feauture 본다 치자. 그러면 이때 가장 중요한건 무엇일까? 바로 Discrete data + Ordinal data or Discrete data + Norminal data 일것이다 그렇지 않고 Continuous data 를 섞어 쓰게된다면 이상한 결과치가 나올것이다 그럼으로 EDA 를 할때 무엇을 볼것이며, 어떻게 볼것이며를 생각해서 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 논리적인 자료의 요약 :